회원가입 차트달기 유료서비스안내 고객센터
 
GT 리포트
게임뉴스
하드웨어 뉴스
소프트웨어 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2025년 8월 2주차 주간게..
2025년 8월 3주차 주간게..
2025년 8월 4주차 주간게..
2025년 9월 1주차 주간게..
25년 8월 월간게임동향
뱀피르, 포켓CU 앱에서 ..
오공 다음은 종규, '검은..
이번엔 서든어택, 게토PC..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의..
 
 
홈> 뉴스> 게임뉴스  
  '블러드본 카트' 팬게임, 내용 바꿔 5월 나온다
 
2024년 04월 03일 () 조회수 : 335
나이트메어 카트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릴리스 월터 공식 X)
▲ 나이트메어 카트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릴리스 월터 공식 X)

‘블러드본 카트(Bloodborne Kart)’로 알려졌던 팬게임이 ‘나이트메어 카트(Nightmare Kart)’로 명칭과 콘텐츠를 바꾸고, 오는 5월 31일 출시된다.

블러드본 카트는 초기 블러드본을 PS1 그래픽 스타일로 디메이크한 팬게임 프로젝트에서 출발했다. 지난 2021년 4월 1일, 만우절 기념으로 개발자 중 한명인 릴리스 월터(Lilith Walther)가 블러드본 팬게임과 동일한 엔진을 활용한 ‘블러드본 PS1 디메이크 카트 레이싱 게임’ 영상을 개제했고,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이후 2022년 3월 해당 프로젝트는 정식으로 개발에 들어갔다.

블러드본 카트는 원작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PS1 그래픽으로 레이싱을 펼치는 방식으로 개발 중이었다. 게임에는 레이디 마리아, 미콜라시, 게르만, 인형, 사냥꾼 등 12명의 캐릭터가 등장할 예정이었고, 총 16개 맵과 멀티플레이도 지원할 계획이었다.

▲ 나이트메어 카트 발표 영상 (영상출처: 릴리스 월터 공식 유튜브 채널)

또한 팬게임인 만큼 다소 과장되고 개그스러운 연출이 포함됐다. 예를 들어 게르만은 휠체어를 타고 열심히 돌진하며, 미콜라시는 맨몸으로 뛰어다닌다. 원작 게임성에 걸맞게 플레이어는 레이싱 도중 적에게 총을 쏘거나, 보스전을 치룰 수도 있었다.

하지만 게임 출시 직전인 1월, 릴리스 월터는 자신의 X(트위터)를 통해 “소니 측에서 나에게 접촉했다”라며, “요약하자면 현재 블러드본 카트로 불리는 게임에 브랜드와 관련된 요소를 제거해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지난 2월 프롬 소프트웨어 미야자키 히데타카 디렉터는 “블러드본 IP는 소니 측에서 소유하고 있다”라고 전한 바 있다.

▲ 게임 변경에 대한 개발자 공지 (자료출처: 릴리스 월터 공식 X)

그러던 지난 3일 릴리스 월터는 ‘법적으로 구별 가능한’ 신작 ‘나이트메어 카트’를 공개했다. 나이트메어 카트는 20인의 새로운 레이서, 16개의 맵, 보스전, 대전 모드 등을 지원한다. 예고 영상에 따르면 전반적인 캐릭터 디자인과 아트에 약간의 변화가 생겼으나, 기본 구조는 블러드본 카트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나이트메어 카트는 오는 5월 31일 PC 플랫폼 스팀과 itch.io로 출시되며, 가격은 무료다.



▲ 나이트메어 카트 스크린샷 (사진출처: 릴리스 월터 공식 X)

Copyright ⓒ 게임메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임뉴스 리스트
목표는 복수, 국산 추리 인디게임 '킬라' TGS 2025 출전 2025-09-17
혼돈 방어구 추가, 디아블로 4 신규 시즌 24일 시작한다 2025-09-17
넷마블 도교게임쇼 전시, 구글·삼성전자·소니와 맞손 2025-09-17
앞서 해보기였던 팰월드, 2026년 정식 출시 예고 2025-09-17
빌런 갱생해 히어로로 출격시키기, '디스패치' 23일 출시 2025-09-17
 
 
 장르순위 - RTS
순위 게임명 점유율
 
리그 오브 레전드 90.35% 
 
스타크래프트 5.74% 
 
워크래프트 3 1.35% 
 
이터널 리턴 1.34% 
 
스타크래프트2 0.53% 
 
도타 2 0.41%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0.17% 
 
카오스온라인 0.07% 
 
슈퍼바이브 0.03% 
 
They Are Billions 0.00% 
전일대비
회사소개 게임트릭스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제휴문의 사이트맵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