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차트달기 유료서비스안내 고객센터
 
GT 리포트
게임뉴스
하드웨어 뉴스
소프트웨어 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2025년 8월 3주차 주간게..
2025년 8월 4주차 주간게..
2025년 9월 1주차 주간게..
25년 8월 월간게임동향
2025년 9월 2주차 주간게..
뱀피르, 포켓CU 앱에서 ..
[숨신소] 실크송 쓰나미 ..
나만의 캐릭터 만든다, ..
호넷 알러지 때문? 실크..
 
 
홈> 뉴스> 게임뉴스  
  항아리게임 개발자 베넷 포디 “게임은 고난이다”
 
2025년 09월 22일 () 조회수 : 38
베이비 스텝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 베이비 스텝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베넷 포디(Bennett Foddy)는 한때 인터넷 방송을 뜨겁게 달군 '베넷 포디의 게팅 오버 잇', 흔히 '항아리게임'의 개발자다. 항아리게임 전에도 베넷 포디는 여러 독특한 구조의 인디게임을 개발했다. 키보드 네 버튼으로 육상선수를 조종하는 'QWOP', 마찬가지로 네 버튼으로 유니콘을 달리게 만드는 'CLOP' 등 플레이 하는 사람을 곤경과 고난에 빠뜨리는 게임을 주로 만들었다.

그런 베넷 포디가 게이브 쿠질로(Gabe Cuzzillo), 막시 보치(Maxi Boch)와 함께 신작 '베이비 스텝(Baby Steps)'으로 돌아온다. 직업이 없는 은둔 청년 '네이트'가 기묘한 공간에 떨어져 걸음마부터 배워 나아간다는 내용을 담았으며, 특유의 난이도와 기묘한 조작감은 여전하다. 독특한 게임을 만들어 나가는 베넷 포디에게 게임 개발 철학을 물어봤다.

▲ 베이비 스텝 영상 (영상출처: 디볼버 디지털 공식 유튜브 채널)

Q. 게이브 쿠질로, 막시 보치, 베넷 포디 셋은 전작 '에이프 아웃'부터 함께 개발했다. 어떤 계기로 개발에 힘을 합치게 됐나?

우리는 모두 뉴욕 대학교(이하 NYU)에서 강의하던 시절 인연을 맺었다. 당시 게이브가 학생 시절부터 만들어온 '에이프 아웃'을 마무리하는 데 힘을 보태면서 함께 하게 됐다. 우리의 기술은 서로 겹치지만, 나는 약간의 비주얼 아트를, 막시는 풍부한 오디오 및 음악 경험을, 게이브는 세계적인 수준의 게임플레이 코더로서 각자 강점을 가지고 있어 서로를 매우 잘 보완한다.

Q. 이전부터 고난과 역경을 주제로 한 게임을 꾸준하게 냈다. 특히 플레이어의 분노를 유발하는 플레이 방식이나 유머도 적극 활용한다. 이런 게임을 즐겨 개발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비디오게임 그 자체에 이미 고난, 역경, 좌절이 기본적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거의 모든 게임이 예로부터 이런 요소들을 담고 있다. 내 작업은 이런 고난과 역경을 의도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런 요소들이 게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또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싶었다. “우리는 왜 가상의 고난에 끌릴까?” 이것이야말로 게임 디자인에서 가장 큰 수수께끼 중 하나다.

유저를 분노하게 만드는 '항아리게임'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 유저를 분노하게 만드는 '항아리게임'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Q. 베이비 스텝의 주인공 캐릭터는 아기가 입을 법한 전신 잠옷을 입었고, 연약하며, 타인과 대화를 꺼린다. 주인공을 이렇게 설계한 이유는?

초기 프로토타입에서 주인공은 서 있기조차 힘들었고, 그를 제대로 걷게 만드는 데 수년간의 반복과 실험이 필요했다. 그래서 ‘등산 초보자’로서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캐릭터가 필요했다. 동시에 플레이어가 공감할 수 있는 귀여운 면모도 원했다. 그러다 보니 은둔형 외톨이 같은 캐릭터로 발전하게 됐다.

Q. 베이비 스텝은 전작들과 달리 대화가 많아졌고, 주변 캐릭터들도 나오며, 약간의 스토리도 선보인다. 이러한 변화의 이유는?

오픈월드 3D 게임 제작은 선형이나 비선형 2D 게임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3D에서는 모든 걸 동시에 볼 수 있고, 멀리 있는 장소를 미리 바라보거나, 길을 잃는 경험도 가능하다. 첫 플레이 가능한 빌드가 나오자, 게임이 흥미롭기 위해서는 공간이 넓어야 하고, 공간이 커지면 그 속을 채워줄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다. 처음에는 최소한으로 유지하려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콘텐츠가 불어나 버렸다.


대화 상대가 생긴 '베이비 스텝'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 대화 상대가 생긴 '베이비 스텝'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Q. 게임 조작법이 독특한데, 개발자의 전작 'CLOP'나 'QWOP'의 더 쉬운 버전처럼 느껴진다. 이런 조작 방식을 택한 이유는?

조작 체계는 게이브의 아이디어였고, 개발 초기부터 크게 바뀌지 않았다. 그의 영감은 스페이스 인베이더 같은 고전 아케이드 게임의 즉각적인 반응성이었고, 이를 'QWOP'이나 '옥토대드'처럼 느슨하고 탄력적인 물리 기반 캐릭터와 결합하려 했다. 처음엔 발이 자동으로 들리는 방식이었는데, 바로 트리거를 활용한 방식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NYU의 동료였던 찰스 프랫이 “트리거를 눌러 발을 내리도록 하자”라고 제안했던 게 기억난다. 오래된 이야기라 조금 다르게 기억할 수도 있다.

Q. 베이비 스텝 체험판이 6월 공개됐다. 기억에 남는 피드백이 있다면?

모드 커뮤니티가 벌써 흥미를 보인 게 놀라웠다. 실제로 누군가는 작동하는 멀티플레이어 모드까지 만들었고, 정말 훌륭했다. 사실 우리도 멀티플레이어를 원했지만 구현이 어렵다고 생각했다. 언젠가는 아예 모더들에게 개발을 맡겨도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 정도였다.


특유의 기묘한 조작 방식과 조작감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 특유의 기묘한 조작 방식과 조작감 (사진출처: 스팀 상점 페이지)

Q. 게임 업계 침체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본인이 생각하는 인디 개발자가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강점이나 전략이 있다면?

요즘 게임 업계가 힘든 건 사실이지만, 전 세계 경제가 어려운 상황이라 다른 산업도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인디 팀의 장점은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이고, 대형 팀처럼 많은 투자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중요한 건 디자인을 작고 간결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물론 베이비 스텝에서는 그걸 완전히 잊어버린 셈이지만.

Copyright ⓒ 게임메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임뉴스 리스트
로한2 글로벌, 사전예약 참여자 수 300만 명 돌파 2025-09-22
마리오 카트와 비슷한 점수, 소닉 레이싱 메타 '83점' 2025-09-22
'카제나·미래시' 메인, 스마일게이트 TGS 2025 부스 공개 2025-09-22
[숨신소] 한국어로 운영하는 오컬트 상점 '앤티쿼티즈' 2025-09-22
항아리게임 개발자 베넷 포디 “게임은 고난이다” 2025-09-22
 
 
 장르순위 - RTS
순위 게임명 점유율
 
리그 오브 레전드 90.68% 
 
스타크래프트 5.07% 
 
워크래프트 3 1.57% 
 
이터널 리턴 1.27% 
 
스타크래프트2 0.55% 
 
도타 2 0.52%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0.19% 
 
슈퍼바이브 0.10% 
 
카오스온라인 0.04% 
 
히어로즈 오브 뉴어스 0.00% 
전일대비
회사소개 게임트릭스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제휴문의 사이트맵
    콘텐츠제공서비스 품질인증서